메뉴 건너뛰기 영역

소아안과
  • 시력검사
  • 사시
  • 약시

사시

  • >
  • 소아안과
  • >
  • 사시

사시의 치료

사시는 종류가 많으며, 각각 치료방침이 다르고 같은 종류의 사시라 할지라도 그 정도에 따라서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방법을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무척 힘이 듭니다.
가장 흔한 간헐성외사시의 경우 80% 정도에서 수술을 하게 되지만, 그 외에도 안경 교정 및 눈 운동으로 치료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절성 내사시의 경우 원시안경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도 안경과 수술 둘 다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무조건 수술을 해야한다' 혹은 '되도록 수술을 피해야 한다'는 말은 적절하지가 않으며, 같은 종류의 사시라도 상태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하므로, 정확한 검사와 경과관찰 및 주치의와의 상담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합니다.
사시 치료를 위한 안경사용
시력이 좋지 않거나 시력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수술 등의 사시치료가 실패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사시의 치료 전에 약시 등의 시력에 대한 교정이 되도록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사시가 치료된 이후에도 근시, 난시,원시등의 굴절이상을 반드시 교정해 주어야 재발이 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습니다. 물론 안경을 사용하지 않아도 시력이 좋은 경우에는 안경이 필요없습니다.
안경사용이
어떻게 눈을
바르게 하나
원시는 안축이 정상보다 짧아서 광선의 초점이 눈 뒤에 맺히게 됩니다. 따라서 광선이 초점을 망막에 정확히 맺게 하기 위해서 눈이 과도한 조절을 하며, 이러한 과도한 조절에 따른 폭주현상으로 눈이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가 나타납니다.

안경 사용은 이러한 조절을 막아줌으로써 눈이 안으로 몰리지 않게 됩니다.
안경을 쓰면 수술이나
가리는 것은 필요
없게 되는지
안경 사용만으로 눈이 바로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안경만으로는 완전하게 눈이 바로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럴 때는 수술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약시가 있는 경우에는 안경 사용과 동시에 가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경을 안 써도
잘보이는 데도
꼭 써야하는지
사시 어린이에서 원시안경 사용은 눈을 바르게 하기 위한 것이지 시력증진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안경사용은 꼭 필요합니다. 어린이가 성장함에 따라 눈도 같이 자라므로 원시는 점점 줄게 되어 원시안경의 도수도 점차 줄게 되고 대부분은 사춘기 이후에는 안경이 필요 없게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린이가 근시 또는 난시인 경우에는 안경 사용이 계속 필요합니다.
사시치료를 위한 수술
눈을 움직이기 위해서 6개의 근육이 눈에 붙어 있습니다. 사시수술이라 이 근육들의 위치를 조절해서 근육들의 힘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사시 교정 수술은 한눈 또는 두 눈에 외안근의 장력을 조정해 주는데 안전하고 복잡하지 않은 수술입니다. 외안근의 부착위치를 안구 뒤쪽으로 옮겨주는 후전술, 외안근의 일부를 떼어내고 앞으로 당겨 부착시키는 절제술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 외에도 외안근 부착 부위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변경시키거나 외안근의 부착 부위 뒤쪽에서 후고정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인공물질을 외안근 절단면 사이에 이식시키는 새로운 수술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특수한 상사시 교정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수술하는 경우
준비와 입원은
수술은 소아 사시의 경우에는 전신마취 하에 하며 전신마취를 위한 신체검사를 사전에 합니다.
입원은 수술 당일에 하며 전신마취를 위한 간단한 진찰을 마취과 의사가 합니다.

수술 후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당일에 퇴원을 하며, 퇴원 후에는 1~2주에 한번 정도 외래로 다니면서 치료합니다.
수술 후 안정 및
눈의 관리는
수술 후 특별한 안정은 필요치 않으며 하루 이틀 뒤면 바로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이 없습니다.

눈의 충혈은 대개 1~3개월 정도 후에는 없어지며, 수술받은 눈의 안대는 하지 않거나 두눈 다 수술했어도 한 눈씩 교대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술은 한번만으로
되는가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번 수술로 눈이 바르게 됩니다. 그러나 사시의 종류 및 사시 정도에 따라서는 한번 이상 여러 번의 수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나중에 다시 돌아가는 경우에도 재수술이 필요하며, 과교정 및 부족교정의 경우에도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경을 써도 수술을
해야 하는가
안경을 쓰면 눈이 바로 되는 경우에는 대부분 수술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안경을 써도 눈이 약간 돌아가는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수술 후에도 안경을 써야 되며 안경을 벗으면 사시가 약간은 남아 있게 됩니다.
차안법(눈 가림법)
모든 사시가 약시가 되는 것은 아니나 만약 약시가 있는 경우에는 치료에 가장 좋은 방법이 차안법, 즉 눈을 가려 주는 것입니다.
차안법의 의외의 효과는 시력이 좋은 눈[돌아기지 않는 눈]을 가림으로써, 시력이 나쁜 눈[주로 돌아간 눈'약시안']으로 보게 되어 그 눈의 시력이 점차 좋아집니다. 가리는 방법을 약시의 정도에 따라서 하루 종일 또는 하루에 몇 시간씩 하게 되며 치료 효과에 따라 가리는 시간과 방법을 바꾸어 줍니다. 가리는 시기가 빠를수록, 즉 나이가 어릴수록 효과가 크며, 늦을 수록 효과가 적고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 어린이가 6~7세경 이후에는 약시가 고정되므로 가리는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어린이가 눈을 가리지 않으려 하는 경우에는 잘 보이는 눈을 가리는 것이므로 처음에는 어린이가 하지 않으려 하거나 했더라도 몰래 떼어버립니다. 따라서 어린이가 잘 가릴 수 있도록 지켜보아야하며, 가리는 것을 색깔 있는 것으로 하거나 그림을 그린 것, 또는 수를 놓은 것으로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그 외에도 가리고 있는 시간에만 TV시청 또는 비디오 게임등을 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가리는 작용이 있는 특수 안경에 의해서도 가림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