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소아안과
- >
- 사시
사시란?
- 정면을 볼 때 두 눈이 똑바로 보지 않고, 어느 한쪽 눈이 다른 곳으로 향하는 것으로 눈의 정렬이 바르지 못한 상태를 사시라고 말합니다. 돌아가는 방항에 따라 안으로 몰리면 내사시, 밖으로 몰리면 외사시 라고 합니다.
사시가 되면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 미용상 문제가 되고, 어린이의 경우 약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입체시와 같은 양안 시기능의 저하, 성인에게는 복시, 어지러움, 두통 그리고 피로감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시 발생 원인
- 윈인을 알지는 못하지만 안구에 있는 근육(외안근)의 협동운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 그 원인들로는 근육의 이상, 뇌손상, 신경마비, 심한 원시, 그리고 한쪽 시력이 안 좋은 경우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시의 종류
- 가성사시 - 눈이 사시는 아닌 것 같은데 몰려보이는 사시
우리나라 아이들에게서 콧등이 낮고 눈과 눈 사이의 미간이 넓어 눈이 안으로 쏠린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가성사시라 합니다. 이는 사시가 아니며 성장하면서 대개 정상 모습으로 됩니다.

- 내사시 - 소아사시의 대부분은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내사시입니다.
- 1) 유아 내사시
유아 내사시는 생후6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눈의 까만 동자가 심하게 눈의 안쪽으로 돌아갑니다. 조기 수술이 필요하며 수술은 안근육의 위치를 옮겨 눈이 올바른 위치를 갖도록 합니다.

- 2) 조절성 내사시
심한 원시로 인해 사물을 선명하게 보기 위하여 과도한 조절을 하게 되면 눈이 안쪽으로 몰리며 내사시가 됩니다. 안경을 착용하면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눈이 똑바로 됩니다.

- 외사시 - 항상 한쪽 눈, 혹은 양쪽 눈의 까만 동자가 바깥 쪽으로 돌아가 있는 사시를 외사시라 합니다.
- 소아의 경우 내사시는 선척적으로 존재 하는 경우가 많으나 외사시는 출생시에는 드물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간헐성외사시-
졸리거나 피곤할 때 TV를 장시간 시청한 후 또는 멍하니 먼 곳을 볼때 가끔씩 한쪽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사시를 말합니다.
- 특징적인 증상은 햇빛에 나가면 한쪽 눈을 찡그리거나 비비는 증상이 보입니다.

- 상사시 - 한눈이 위로 올라가 있는 사시로서 올라가는 눈을 기준으로 하여 이름을 붙입니다.
오른 눈으로 주시할 때 왼눈이 위로 올라가게 되면 좌안 상사시라고 부릅니다. 즉 일반적으로 올라가는 눈을 중심으로 하여 이름을 붙입니다.
- 하사시 - 눈이 아래로 가는 하사시가 있는 경우 눈꺼풀이 쳐지는 안검하수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갑상선근증,근무력증과 같이 와안근 자체의 이상에서 오는 사시의 경우에는 그 눈이 밑으로 쳐져 있으면 하사시라 부릅니다.
- 성인사시
당뇨병이나 고혈압, 갑상선 기능이상 등 전신적 질환, 눈 및 머리에 외상을 입었거나 뇌질환이 있는 경우 등에 갑자기 사시가 생겨서 복시를 호소합니다.
- 마비성사시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마비되어 눈의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