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병증은 눈에 장애를 초래하는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서 안구의 후반부에서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 취약해진 결과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들 약해진 혈관들은 삼출물이나 혈액을 누출시키고 국소적인 확장,
터지기 쉬운 혈관신생 등의 이상을 나타냅니다.
당뇨망막병증이 나타나는 빈도는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높게 나타납니다. 15년 이상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60%가 망막병증을 보이며 어린이나 사춘기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약년성 당뇨병) 조기에 망막병증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납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원인과 증상
당뇨망막병증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뇨병은 체내 여러 곳에서 미세 혈관들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이나 혈압상승 그리고 신부전 등은 당뇨망막병증의 상태를 악화 시킵니다.
비증식성 망막병증에서는 시력이 점차 소실되더라도 눈의 이상상태가 정밀 검사를 통해 진단할 때까지 모르고 지낼 수 있습니다. 증식성 망막병증에서 출혈이 일어났을 때 환자는 시력의
일부 또는 전부의 장애를 나타냅니다. 비록 증상이 없다 할지라도 당뇨망막병증이 심한 경우는 즉시 안과치료를 해야합니다.
당뇨망막병증 종류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
비증식성 당뇨망막증 초기의 망막변화로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약 90%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망막혈관의 이상소견과 출혈, 망막부종 등이 나타나는데 그대로 방치할 경우 대부분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합니다.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이 점차 진행하여 망막에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자라나게 되면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이러한 신생혈관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잘 텨져서 안구내 출혈 정도가 약하면 환자는 눈앞에 먼지나
파리가 떠다니는 것 같이 느끼게 되고 시력도 다소 감퇴하게 됩니다. 안구내 출혈이 심하면 눈앞이 깜깜해지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될 수도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가. 혈당조절
내과적으로 혈당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비록 망막병증이 일단 발생하면 자체적으로 진행한다고 하지만 혈당이 높으면 망막병증의 진행이 가속화되므로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한 망막병증의 진행을 둔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나. 약물치료
망막혈관벽이나 혈액성분에 작용하여 망막미세혈관의 순환을 개선시키는 약물 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 레이저 광응고술
당뇨망막병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레이저 치료는 망막병증의 진행을 막고 그 당시의 시력을 유지시켜 주는데 치료의 목적이 있습니다. 대부분 치료 후 시력의 개선을 볼 수 있지만 원래의 시력으로 회복시키지는 못합니다.
그 방법으로는 황반부 응고술, 국소 응고술, 범안저 광응고술 등이 있습니다.
라. 유리체 절제술
망막병증의 치료를 안 하였거나 레이저 치료에도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진행된 망막병증으로 인하여 반복성 유리체 출혈이 생길 때 또는 수개월이상 유리체출혈이 있을때, 한쪽 눈이 실명되고 반대측 눈에 유리체 출혈이 생길 때, 견인성 망막박리가 있을 경우등에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