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역

위안부질환/콘택트렌즈
  • 검열반
  • 익상편
  • 안구건조증
  • 눈병
  • 콘택트렌즈

눈병

  • >
  • 외안부질환/콘택트렌즈
  • >
  • 눈병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이 시리고 가려움이 심하며, 눈에 충혈이 생기고 눈곱과 눈물이 많이 나오는 질환입니다.
꽃이 많이 피는 봄이나, 환절기가 되면서 알러지 체질을 갖고 있는 환자들의 과민성(알레르기성)반응이 높이 나타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눈의 청결을 유지하고 인공누액 등으로 눈을 자주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진정 시키는데는 얼음찜질이 좋지만 눈을 비비거나 소금물로 씻을 경우 증상이 악화됨으로 안약을 통해 치료하셔야 합니다.
유행성 각결막염
전염성이 몹시 강한 질병으로 일명 눈병이라고도 불립니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감기 등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전염으로 생기는 일종의 특수한 급성결막염입니다. 이 병균은 전염성이 몹시 강하며 예방하는 방법이나 특수한 치료방법이 아직 없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유행되고 있습니다.
이 눈병은 연령에 구별없이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감염되며 대개 약 1주일의 잠복기를 지나 한쪽눈에 발생하였다가 다른쪽 눈에 옮는 것이 보통입니다. 증세는 눈이 충혈 되고 눈물이 많이 나며 심한 이물감이 있으며 눈이 부십니다. 결막부종 및 출혈도 있을 수 있고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전염되면 귀밑과 턱밑에 있는 임파선이 부어서 통증을 느낄 수 있고 감기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처음 1주일 동안은 치료를 함에도 불구하고 점차로 심해 지다가 2~3주일 지나면 자연히 치유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간혹 나아가는 도중에 점상 각막염이나 이차성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각막 상피가 벗겨지거나 각막혼탁이 생겨 시력이 흐리게 보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를 소홀히 하지 마십시오.
급성출혈성 결막염
흔히 아폴로 눈병이라고 부르는 급성출혈성 결막염은 발병 후 24시간 이내 결막에 작은 출혈이 생기고 점점 커지는데 심한 두통과 함께 눈의 충혈이 심합니다.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으며 눈꺼풀이 붓습니다. 유행성 각결막염과 비슷하지만 회복기간은 일주일 정도로 더 짧습니다. 주위 사람들이나 가족에게 전염되기 쉽기 때문에 발병 기간 동안은 옮지 않게 주의하셔야 합니다.
결막염의 원인
· 평소 더러운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습니다.
· 눈을 만지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 렌즈를 낀 채로 수영하지 않습니다
· 눈병이 유행할 때는 수영장 등 사람 많은 곳에 가지 않습니다.
· 눈에 이상이 있을 때는 지체하지 말고 안과 진료를 받습니다.
주의사항
- 치료 기간은 1~3주 정도 걸립니다. (각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반대편 눈에 옮긴 경우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 눈꼽, 충혈, 이물감이 주증상이며 노랗거나 붉은 눈물, 눈꺼풀이 붓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처음 1주 정도는 적극적인 치료를 하더라도 병이 심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회복기에 각막 혼탁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를 잘 받지 않으면 각막 혼탁에 의한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진료 날짜
   를 잘 지켜주기 바랍니다.
- 눈을 심하게 비빌 경우 각막 표피가 벗겨져 심한 틍증이 생길 수 있으며 안대 또는 콘택트 렌즈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
   다.
- 손을 자주 씻으시고, 수건 세면도구는 꼭 따로 사용하세요.
- 냉찜질 및 소금물 세척등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안대를 하시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하지 마세요.
- 남의 안약은 절대로 쓰지 마세요.
- 공중 목욕탕, 수영장은 피하세요.
- 눈병환자와 악수등의 직접직인 접촉을 피하세요.
- 단지 쳐다보는 것으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만져야 전염되니 눈을 손대지 마시고 자주 손을 씻으세요.
- 안약을 넣는다고 눈병이 예방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