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백내장/녹내장
- >
- 백내장
백내장이란?
- 백내장이란 우리 눈 속에 카메라 렌즈 같은 역할을 하는 투명한 수정체에 혼탁이 온 상태를 말하며, 안개가 낀 것처럼 흐릿하게 보이게 됩니다. 주로 노인성으로 나타나는데 맑고 투명했던 수정체가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적으로 부옇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백내장의 증상
- 일반적으로 백내장 환자의 주증상은 점차적으로 시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때 통증이나 눈꼽,눈의 불편함 등 일반적으로 눈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세없이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인성 백내장은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초기에는 대부분 백내장이 생긴 줄 모르고 지내다가 수정체의 혼탁이 진행하면서 시력장애를 느끼게 됩니다.

백내장의 치료
- 백내장의 치료로는 경구용 약물이나 여러가지 점안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약물들은 초기에 사용하여 백내장의 진행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겠으나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에는 별 효과가 없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는 궁극적인 백내장 치료방법은 수술입니다.
백내장에 의한 증상이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할 정도라든지, 자신이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가 심하다면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면 수술은 미루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자신의 의지로서 수술을 결정해야 합니다.
- 수술시기는 백내장에 의한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한, 병의 진행상태, 시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시력감퇴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정도로 시력이 저하되면 수술시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백내장으로 진단을 받았다 하더라도 바로 수술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개개인에 따라 경과 관찰을 하여 적절한 수술 시기를 결정하게 되고 수술 시행 시까지 백내장의 진행을 지연시킨다고 알려진 약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백내장이 너무 오래되어 심한 정도로 진행된 경우에는 백내장으로 인한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 자체도 힘들어지고 시력 예후도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백내장 수술을 하면서 바로 인공 수정체를 눈 안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이 가장 흔하게 시행됩니다.
수술 후 시력회복
- 수술 후 시력회복 정도의 여부는 수정체뿐만 아니라 각막, 초자체, 망막 등 우리 눈의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백내장 수술은 수정체에만 해당되는 수술이므로 수정체 외의 다른 원인에 의한 시력장애는 백내장 수술만으로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수술 후 시력회복이 어느 정도 될 것인가는 수술 전에는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나 수술 전 여러가지 검사를 통하여 수술 후 합병증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수술의 합병증
- 모든 수술에 있어서 합병증이 없는 수술은 없습니다. 반드시 담당 의사와 수술에 대한 설명과 합병증에 대한 설명을 들으셔야하며, 환자 분의 신체적 상태 때문에 수술 후 합병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환자는 수술에 따른 합병증과 그 발생에
따른 처리를 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의사에게 수술 받는 것이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한 길입니다.
-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안내염, 녹내장, 안내 출혈, 망막부종,망막박리,후발성 백내장, 인공수정체의 위치 이상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시에는 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수술 후 주의사항
- 수술 직후에는 일반적으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안대를 하며, 안대를 하지 않거나 뗀 후에도 눈을 비빈다거나 직접 눈에 손을 대어 압박하면 안됩니다. 시력이 회복되어도 눈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는 수 주 이상이 걸리며,
수술 뒤에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회복이 느린 경우도 있으므로, 수술 후 얼마간은 안약을 잘 넣고 정기적인 진찰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세수를 하는 경우에는 눈 속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하며, 절대로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하고 눈 주변을 닦는 정도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샤워나 목욕은 처음 며칠 동안은 뜨거운 온탕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하는 것이 좋으며, 수술 후 얼마간은 무거운 것을 든다거나 격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